운전할 때 속도제한을 잘 지켜야 하는 건 당연하죠. 호주에서는 추월할 때라도 제한속도를 1키로라도 초과하면 걸린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속도 때문에 걸려본 적은 없지만 일단 규정은 그렇게 돼 있습니다.
속도 표지판이 없는 경우 어떻게 운전해야 할까요? 이 경우를 default speed limit 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Default speed limit 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Built-up area, 또하나는 Maximum State Speed Limit 입니다.
아래의 경우 Built-up area 로 별도의 표지판이 없고 50키로로 운행해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주택가는 35마일인데에 비하면 호주가 조금 더 낮네요.
두번째는 Built-up area 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며 주로 도시 외곽으로 나가서 표지판이 없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주마다 정해져 있는 maximum speed의 적용을 받습니다. WA 주에서는 110키로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에는 110키로가 아닌 100키로가 적용됩니다
아래의 경우 Built-up area 로 별도의 표지판이 없고 50키로로 운행해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주택가는 35마일인데에 비하면 호주가 조금 더 낮네요.
- 가로등의 간격이 100미터 이내이며 이런 상황이 적어도 500미터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주택, 공장, 상점 등이 100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있고 이런 상황이 적어도 500미터 이상 지속되는 경우
두번째는 Built-up area 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며 주로 도시 외곽으로 나가서 표지판이 없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주마다 정해져 있는 maximum speed의 적용을 받습니다. WA 주에서는 110키로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에는 110키로가 아닌 100키로가 적용됩니다
- L (Learner) 면허증 소지자
- 캐러밴이나 트레일러를 끌고 가는 경우
- GVM (Gross Vehicle Mass) 가 5톤이 넘는 버스
- GCM (Gross Combined Mass) 가 12톤이 넘는 차량
*GVM: Gross Vehicle Mass 의 약자로 차량에 허용된 모든 하물을 실은 상태의 무게 (승객, 운전자, 차량 무게 모두 포함)
*GCM: Gross Combined Mass의 약자로 차량과 트레일러의 무게를 합산한 허용된 무게
All content provided on this blog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The owner of this blog will not be liable for any errors or omissions in this information nor for the availability of this information.
이 블로그의 내용은 정보의 전달이 목적이며 블로그 작성자는 블로그 내용에 대해서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All content provided on this blog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The owner of this blog will not be liable for any errors or omissions in this information nor for the availability of this information.
이 블로그의 내용은 정보의 전달이 목적이며 블로그 작성자는 블로그 내용에 대해서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